"Contagion"은 전염병 도래와 그에 대응하는 군중들의 모습, 그리고 전염병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의 제목입니다.
본 영화는 2011년에 개봉하였고,
영화감독인 스티븐 소더버그는 2003년 MERS사태 및 2009년 Influenza 범유행 사태에 영감을 받아 제작하였다 밝히고 있습니다.
간략한 영화소개를 접하고 영화 속의 상황이 현재 진행중인 COVID-19 사태와 얼마나 유사한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감상을 시작하였습니다.
영화 속에는 크게 3부류의 사람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.
하나는 pandemic 속에서 본인을 희생해가며 백신 개발 및 환지 치료에 힘쓰는 사람들,
하나는 pandemic 속에서 유명세를 타고 본인의 이익을 취하고자 대중의 불안을 조장하는 사람들,
그리고 하나는 pandemic 속에서 본인들의 방식으로 일상을 영유해가는 사람들입니다.
영화는 각 부류에 속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변화에 집중하며 인류가 pandemic을 극복해내가는 과정을 흥미롭게 조명하고 있습니다.
또한 사실에 기반한 영화에서 보통 나타나는 사실의 과장을 통한 흥미요소 극대화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.
그 때문인지 영화를 감상하다보면 자연스럽게 현재 COVID-19 사태를 연상하게 됩니다.
그러나 COVID-19과 영화 사이에는 차이점도 존재합니다.
바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치사율입니다.
COVID-19은 치사율이 극히 낮은 반면, 영화에 등장하는 바이러스의 치사율은 20%를 넘어섭니다.
COVID-19과 같이 낮은 치사율 하에서는 현재 미국 및 유럽 여러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소극적인 대응이 가능한 옵션 중 하나입니다.
그러나 이후에 높은 치사율의 바이러스가 등장한다고 하면 모든 국가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정책의 옵션은 매우 제한될 것입니다.
죽음의 공포는 논리에 앞서는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감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.
여기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.
1. 현재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은 충분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가?
2. 치료제 및 백신에 대한 검증은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?
3. 나와 내가 속한 그룹은 본 사태 극복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?
제가 내린 결론은 조금은 부정적입니다.
1. 감염증 치료를 위한 nAb 및 cytokine들의 개발은 꽤나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, 바이러스를 종식시킬 수 있는 백신 개발은 아직 기술적 성숙도가 낮습니다.
2. 치료제 및 백신 검증 과정에 대해서는 제 공부가 부족하여 언급을 삼가겠습니다.
3. 이번 COVID-19 관련 연구를 통해 감염증의 이해에 어느정도 기여할 수 있었지만, Scripps 연구소 등 주요 연구기관이 보고하는 수많은 레포트에 비하면 아직 미비한 수준입니다.
동물을 통한 바이러스 매개 전염 pandemic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, 그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는 점은
"Contagion"에서의 높은 치사율의 바이러스가 현실 세계에 등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만듭니다.
저를 포함한 우리 과학자들은 현존하는 COVID-19 극복을 넘어서,
높은 치사율의 바이러스가 등장하는 상황을 기준으로 삼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힘써야한다 생각합니다.